엠에스씨 조정 마치고 상승랠리 박차...외국인 대량매도 이유 있나
- 기자명 이경선 기자
- 입력 2022.10.06 00:00
- 과대낙폭에 따른 매수유입으로 보인다. 엠에스씨는 식품첨가물 제조업을 필두로 현재는 식품부문 사업까지 영위하는 식품 및 식품첨가물 신소재 전문회사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17년 HACCP 의무화 시행에 따라 식품 전제품에 HACCP를 적용하는 등 식품안전 강화에도 노력하고 있다.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필요성 제고와 천연소재 인지도 향상에 따라 식품 뿐 아니라 의약품,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한 신소재, 색소, 향료 등의 연구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출처 : 핀포인트뉴스(http://www.pinpointnews.co.kr)
엠에스씨, 2Q 영업이익 71억원.. PER 6.6배
데이터센터 22.08/16 17:26
출처 : 대한민국 NO1 가치투자포털 아이투자
http://www.itooza.com/common/iview.php?no=2022081615421750214
[저PER주] 엠에스씨, 올해 이익 개선 돋보여…PER 6.9배
신혜정 기자 21.12/24 08:34
출처 : 대한민국 NO1 가치투자포털 아이투자
http://www.itooza.com/common/iview.php?no=2021122322163827715
엠에스씨는 조미식품, 수산연제품, 식품첨가물 제조기업이다. 수산물(해초)을 가공한 카라기난, 농수산물을 가공한 천연색소 및 각종 조미료 분말, 액상 제품, 음료 제품을 주요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식품 대기업을 주요 판매처로 확보하여 거래하며 주문생산방식을 통해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다.
회사는 경남 양산에 위치한 본사에서 수도권 외 지역의 영업활동을 담당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 지역인 서울, 경기권 등의 영업활동을 위해 경기도 분당시에 지사를 설립했다. 주요 종속회사인 미얀마 엠에스씨는 카라기난의 원료인 코토니의 주산지 동남아 지역에 해초양식 및 해초수집을 위해 설립되었고 안정적인 원료 수급을 담당하고 있다.
2021년 3분기 기준 품목별 매출 비중은 조미액 44%, 카라기난 34%, PET 제품 11%, 천연식용색소 9% 등이다. 주요 제품인 카라기난은 홍조류 식물에서 추출한 복합 다당류다. 유화안정제, 팽윤제, 증점제, 결정방지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생산하고 있으며 관련 제품 매출의 70% 이상이 수출 매출이다.
출처 : 대한민국 NO1 가치투자포털 아이투자
http://www.itooza.com/common/iview.php?no=2021122322163827715
VS 엠에스씨(인천) 이름만 같고 다른 회사
김동훈 엠에스씨 대표 "수입 의존하던 반도체 도금액 국산으로 대체"
엠에스씨는 반도체와 전자부품에 사용되는 표면처리 약품을 생산한다. 설립 초기에는 전자파 차폐 소재 약품을 생산했지만 최근 들어 반도체 웨이퍼용 도금액 비중을 높이고 있다.
'종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GC에너지(시총 4,990억) - 저평가, 이테크건설, 탄소중립, 온실가스배출권, 자원순환 (0) | 2022.11.25 |
---|---|
GH신소재(시총 624억) - 음압병실, 산업용 클린룸, 방음기 제조, 자동차 내장 소재 및 제품개발 생산 (0) | 2022.11.24 |
동양에스텍(시총 429억) - 건설폐기물, 철강, 철강석, 포스코 (0) | 2022.11.24 |
서린바이오(시총 1,046억) - 이유없는 상승하락, mRNA 합성서비스 유일 공급, 삼바, 친환경 대기오염저감, 헬스케어 (0) | 2022.11.24 |
알에프텍(시총 1,576억) - CAPA 확충, 보툴리눔 톡신, 히알루론산 필러 (0) | 2022.11.24 |